-항상 편지를 읽고 소중한 감상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그간 레터에 분량 문제로 짧게 소개하면서도 좋은 감상들을 충분히 함께 나누지 못해 아쉬움이 있었는데요. 해당 회차 레터에 관한 일부 의견들을 선정해 아카이빙해보고자 합니다.(이전 회차들에 대한 의견들도 조만간 아카이빙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잘 읽었다” 등의 짧은 감상 혹은 개인적인 지지의 말들도 항상 굉장히 감사하게 받아보고 있고 큰 힘이 됩니다.

-닉네임을 남겨주시지 않은 경우 ‘익명’으로 통일합니다.


👤부리부리박사 = 역시 인사이트가 가득합니다. 동네책방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매주 인스피아를 보고 내가 읽었던 책이 나오면 빙그레 웃게 되고, 읽지 않았지만 흥미가 사악 도는 책이 등장하면 책방에 입고해서 손님들 손에 쥐어지기를 기대하게 되는데요! 인스피아 도서DB를 정리해주시다니 피드백을 남기지 않을 수 없었어요. 언젠가는 이 리스트에서 잘 추려서 인스피아 기획서가를 한번 꾸려보고도 싶습니다. 매회 잘 읽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김스피= 동네책방을 운영하고 계시는군요! 인스피아 기획서가라니, 멋지네요! 제가 그간 다뤘던 책들 중에 절판된 것들도 많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그렇게까지 어려운 책들은 없어서 많은 분들이 함께 읽을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아요! DB도 잘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코난 = 우연한 발견이라는 내용이 요즘 제가 생각하고 있는 것과 일맥상통한 것이어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만약 쉼보르스카가 '아주 훌륭한 고전' '반드시 죽기전에 읽어야 할 고전'들만으로 서평을 썼다면 제가 이 책을 그렇게 좋아하게 되진 않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꼭 ‘좋은 책’에서만 ‘좋은 글’이 나오지 않는 것은 - 어쩌면 나만의 글이란, 텍스트(책)와 텍스트(나)가 만나 덜걱거리는 틈새에서 나오기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저는 IT회사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고 AI관련 업무를 하고 있는건 아니지만 AI에 관심이 많습니다. 전에는 사람의 의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 싶어서 관련된 책을 많이 읽었고, 최근 LLM의 약진 덕분에 지능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람의 지능이란 과거의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패턴인식 능력이라 볼수 있습니다. 좋은 책을 많이 읽으면 그 책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글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고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글은 좋은 글이라고 하긴 어려울 겁니다. 좋은 글을 쓰려면 내가 그동안 학습한 글쓰기 능력에 새롭고 신선한 아이템이 더해져야 할테고 그런 아이템은 과거의 좋은 책에서는 찾기 어렵겠죠. 글쓰기와 과학적 연구는 매우 다르다고 생각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제가 보는 지능의 관점에서 두 가지 작업은 매우 닮아 있습니다. 지능이 동작하는 방식은 항상 동일하니까요. 모든 과학적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시작해서 개선점을 찾습니다. 연구를 하려면 이미 사전적인 학습이 충분히 되어있어야죠. 기본적인 수학과 물리학, 그리고 해당 연구 도메인의 다양한 연구결과들에 대해서도 학습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것만 가지고는 새로운 발견을 할수가 없습니다. 새로운 발견을 위해서는 여기 저기를 뒤지고 남들이 안해본 것들을 시도해봐야 합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좋은 방법을 찾게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이 발전합니다. 그래서 "발견"이란 표현이 사용되고, 새로운 과학적 이론을 "창작"했다고는 하지 않습니다. 글쓰기에선 "창작"이란 표현을 사용하긴 합니다만 이는 글을 쓰는 행위에 초점을 맞춘 것이고, 글쓰기 역시 "발견" 없이는 새롭고 좋은 글을 쓸 수는 없을 겁니다. 훨씬 독창적인 글쓰기를 하려면 새로운 아이템 뿐만이 아니라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발견" 해야 할수도 있습니다. 발견을 위해선 안가본 길을 가보고 되는지 안되는지 일단 시도해 보는 것이 필요하구요. 글이 길어졌는데, 지능에 대한 제 이론은, 패턴인식은 중요하지만 제한적인 능력이고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건 다양한 시도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과학적 연구건, 글쓰기건, 혹은 음악이나 영화를 만드는 것이건 말이죠.

⏩김스피= 깊은 통찰을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쓰기와 과학적 연구를 비교해볼 생각은 해보지 못했는데(=제가 과학쪽은 문외한이기에), 설명을 차근차근 읽어가다보니 정말로 비슷한 부분이 많네요. 특히 기존의 것들을 학습한 뒤 그것을 바탕으로 자기만의 새로운 시도를 해보아야 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나아가 코난님께서 마지막에 말씀해주신 것처럼, 실은 글쓰기와 과학적 연구 외에 다른 창작들도 비슷한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는 약소한 레터를 쓰고 있을 뿐입니다만, 항상 글을 쓰고 회차를 준비할 때마다 비슷한 생각을 하곤 합니다. 책을 다루긴 하지만, 책의 내용을 그대로 다루어서는 글에 호소력이 없고 재미가 떨어지는 것 같아요. 그래서 결국은 책을 다루는 글이라고 할지라도(서평이든 무엇이든) 자기만의 관점이 있어야 거기서 새로운 시각과 ‘발견’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물론 그게 잘 안되는 회차도 많지만요😿)

이미 수많은 학문의 선배들이 수많은 글을 써두고, 수많은 발견을 해놨는데 - 거기서 내가 무엇을 더할 수 있을까 하고 압도되는 기분이 들 때, 선인들의 발견을 공부하면서도 동시에 꾸준히 자신만의 발견을 위해 ‘조금의 자기만의 딴 생각/시도’를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H = 책장정리 잘 못하는 1인이며, 책은 살면서 꼭 필요한 생필품이라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김스피님의 책장과 또 엉뚱한 책들과의 만남에 대한 이야기가 진짜 좋았습니다. 책DB만드신거 축하드려요. 노동절에 쉰 노동자로서, 5인미만 사업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어려움에 대해 여태, 한번도 진지하게 생각해본일이 없었다는 부끄러운 고백을 해봅니다. 그리고 판에 대하여…민희진씨 기자회견과 디저트 팝업스토어에 관해 새로운 관점을 알게되어서 참 고마워졌습니다. +)나는 캐나다의 한국인 응급구조사 - 올해 만나본 책 중 가장 울림이 큰 책입니다. 가장의 무게와 삶의 날것 그대로의 모습이 어우러진 휴먼다큐먼터리 입니다. ++) AI 와 독서의 미래, 연금과 금융?

⏩김스피= 감사합니다! 저도 사실 책장 정리를 잘 못하는 편이긴 한데요 😂 아무렇게나 빼서 쌓아두고 쌓아두고 하다보니, 한달에 한번쯤은 맘먹고 팔을 걷고 다시 꽂아두지 않으면 책장이 아주 엉망이 됩니다. 그래도 한달에 한번쯤은 본격적으로 구석에 꽂혀있던 책들에도 한번쯤 손을 뻗어본다는 점에서 좋지 않은가, 하고 긍정적인(?) 사고를 해보고 있습니다.

+)보내주신 주제 및 책 추천도 감사합니다. 꼭 질문이 없으셔도, 앞으로도 종종 부담없이 피드백 보내주셔요😊


*지난 회차에 대한 피드백입니다. 추후 해당 회차로 이동될 예정입니다 😊 의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