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편지를 읽고 소중한 감상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그간 레터에 분량 문제로 짧게 소개하면서도 좋은 감상들을 충분히 함께 나누지 못해 아쉬움이 있었는데요. 해당 회차 레터에 관한 일부 의견들을 선정해 아카이빙해보고자 합니다.(이전 회차들에 대한 의견들도 조만간 아카이빙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잘 읽었다” 등의 짧은 감상 혹은 개인적인 지지의 말들도 항상 굉장히 감사하게 받아보고 있고 큰 힘이 됩니다.

-닉네임을 남겨주시지 않은 경우 ‘무명’으로 통일합니다.


👤뀨뀨 = 너무 좋았습니다! 글이 꽤 길었는데 제가 평소 고민하던 부분이라 집중해서 읽을 수 있었어요. 주변에도 많이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리터러시는 지식이 아니고 실천이라는 부분에서 머리가 딩~ 하더라고요. 저는 그동안 인스피아님의 글을 읽기만 했지 내가 뭘 어떻게 해야겠다는 생각은 미처 못했던것 같은데...반성하게 되었어요.

⏩김스피 =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 역시 항상 기사나 책을 읽고는 있지만 매번 치열하게 행동하진 못해서 반성하고 있는데요. 이때문에 기가 죽을 필욘 없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그런 반성을 하면서 조금씩 한걸음이라도 나가려고 하는 시도를 한다면 사회는 아주 조금씩 더 나아질 수 있겠죠🙂

👤무명 = 리터러시의 개념을 다시 생각했다. 인터뷰 글이라서 좀 더 집중했다. 리터러시를 나를 알아가는 성찰, 타인과의 소통의 차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lighti = 제가 처음으로 글을 쓰고 싶었을 때, 오로지 책을 읽는 것으로 삶을 버텼을 때 생각이 많이 났어요. 그리고 늘 새기던 마음... 좋은 독자로서의 삶을 살아내고 싶다는 것. 지금은 어떨까 생각하면 잘 모르겠습니다. 글을 포기하지도 못하고, 포기하지 않는다 하지도 못하고, 책을 마냥 좋아하던 시절은 지났고, 문학을 놓지 못하면서도 문학이-예술이 무용하기 때문에 소중하다는 말이 더는 멋있게 이해되지 않고...ㅎㅎ스피아님이 '삶'이라는 단어를 리터러시의 중심에 써주셔서 이런저런 감상을 남기게 됩니다. 실천이라는 질문 앞에서요.

⏩김스피 = 저 역시 비슷한 고민을 항상 하고 있기 때문에 한글자 한글자 굉장히 공감하면서 보내주신 감상을 읽었습니다. ‘무쓸모의 쓸모’를 외치며 시작한 해찰이라는 기획(인스피아)지만, 결국 우리의 삶에 실천으로서의 무쓸모(?)를 어떻게 끌어오느냐가 최근의 고민입니다. 즐겁고, 지치지 않는 방법으로요😊

👤최형식 = 이렇게 긴 호흡의 인터뷰라니 선물같아요! 리터러시에 관한 두 분의 대화를 엿보며 인스피아도 훨씬 더 긴 텍스트가 되더라도 기꺼이 읽어야지.. 읽고 나서 감상도 차분히 정리하고 김스피님과 공유해야지.. 그렇게 리터러시를 갖춰야지..라고 생각했습니다. 최근 인스피아 레터의 문제의식이 비슷한 곳으로 몰리고 있는 것 같아요. 혐오의 시대 - 반지성주의에 대한 대처 등 도저히 대화가 불가능할 것만 같은 양극화의 시대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만 할까..에 대한 실마리를 김스피님과 함께 조금씩 잡아나가고 있는 것 같아 즐겁습니다. 함께 읽고 있는 독자님들과의 모종의 연대감도 생기구요..

⏩김스피 = 어렴풋이 저도 무언가 주제들이 한쪽으로 점차 수렴(!)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정리를 해주시니 저도 새삼 그렇다는 게 느껴지네요. 사실 독자간 커뮤니티나 피드백 을 어떻게 가져갈지에 대한 것은 레터를 시작하고나서 계속 고민하던 부분이었는데, 이렇게 노션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유튜브처럼 댓글이 플랫폼 위에서 활발하게 오가지 못해 아쉽긴 하지만, 아쉬운대로 작은 고민들과 소통이 오갈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면 좋겠네요🙂

👤무명 = 매번 인스피아 뉴스레터 잘 보고 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 하나만 말씀드리면 최근 회차 중 <여가부폐지와 이대남 사이>라는 부제목에서 이대남이라는 단어를 지양해주셨으면 합니다. 이대남이라는 단어는 여성혐오를 스포츠로 하는 20대 남자를 지칭하는 척 하면서 '이대' 즉 이화여자대학교를 줄여부르는 언어를 빼앗으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남초발 단어입니다. 보통 이화여대학생을 '이대생'이라고 줄여부르는데 20대 남자를 이대남이라고 근본없이 불여부르면 여성대학인 이대라는 단어에 남자를 붙이는 이상한 단어가 됩니다. 남초, 즉 일베와 fm코리아(펨코) 등 여성대상 범죄모의를 공공연하게 하여 경찰 조사를 받은 적 있는 사이트에서 먼저 이대남이라는 이상한 단어를 만들어 이대를 다니지도 않는 본인들을 이대남이라고 운운했고 이 단어를 생각없는 인터넷 기자들이 남초글을 보고 가져가 그대로 기사를 써 부득이하게 퍼지게 되었습니다. 어처구니 없는 일이죠. 여성에게 불평등했던, 그리고 지금도 불평등한 교육의 권리를 위해 세워진 여자대학을 미워하고 혐오하는 남성들이 무척 많습니다.(남녀공학인 대학에서 항상 남성 학생을 더 뽑고 여성은 덜 뽑습니다. 점수가 같아도 여성이면 떨어지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그 중 이화여대는 여대 중 입결이 가장 높아 여대의 대표격으로 인식되고 예전부터 김치녀, 된장녀 등 여성혐오적 욕의 대상이 되고는 했습니다. 여성혐오를 하는 남자들이 똑똑하고 자기보다 잘나 보이는 여성에게 열등감을 느껴 이대생들을 깎아내리고 욕해 온 역사는 오래되었고 이번에도 이대를 타겟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자대학인 이대를 지우려는 단어 '이대남'의 단어를 사용하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아직도 인터넷 기사에서 보이는 단어지만 지양하려는 움직임이 하나둘씩 일어나야 점차 변한다고 생각합니다. 긴 문의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항상 뉴스레터 잘 보고 있습니다. 독자로서 언제나 응원합니다.

⏩김스피 =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었는데 생각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신조어가 사회에서 통용될 때, 그 탄생 맥락과 사용이 그 사회의 가장 첨예한 부분(갈등, 편견, 혹은 현상 그 자체 등)을 드러낸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런 단어를 사용할지, 사용하지 않을지, 혹은 사용하더라도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지 등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오갈수록 사려깊은 사회가 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향후 레터 운영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감사드립니다🙂